질문답변
장뇌삼 종자를 받았는데
페이지 정보
작성자 운영자 댓글 0건 조회 8,924회 작성일 09-11-05 13:33본문
안녕하세요? 설명서를 빠뜨렸나보네요.. 죄송합니다.
장뇌삼 종자 파종 안내
강원삼마을 장뇌삼 종자는 산삼이 자라던 해발 500~800m의 산지지역에 최대한 자연 지형을 그대로 활용하여 조성한 농장에서 자연 상태에서 자란 장뇌삼에서 채취한 종자이므로 여타의 대량생산 방식으로 키워낸 종자와 강원삼마을의 종자와는 차이가 있습니다.
장뇌삼은 반음지 식물이므로 활엽수와 침엽수가 섞인 혼요림 지역에 파종하는 것이 좋으며 적당하게 그늘과 햇빛이 드는 북동 내지는 북서 방향의 경사가 완만한 지형이 삼이 자라기 좋은 지형입니다. 특히 어린 삼들은 잎이 얇고 연하여 강하지 않은 햇살마저 오래 받으면 죽는 경우가 많아 일조량에 아주 민감한 편입니다.
토질은 낙엽이 쌓여 부엽토가 형성된 적당하게 습도가 유지되고 직사광선을 직접 받지 않는 지형을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장뇌삼 종자를 파종하기 전에 토질을 먼저 부드럽게 한 후 파종하면 뿌리가 길게 잘 발달되기도 합니다. 보내드리는 종자는 개갑을 완료한 종자로서 내년 봄에 거의 싹이 나오지만 후년에 싹이 나오는 종자도 일부 있습니다.
종자의 식재 시기는 봄과 가을이 좋으며 가을에는 땅이 얼기 전까지 식재가 가능합니다. 식재 지역에 직접 파종할 경우에는 삼과 삼을 너무 가까이 파종하면 세균들이 모여들 확률도 높고 지상부가 발달하면서 서로 부딪혀 성장에 지장을 받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영양소 섭취에도 많은 문제가 있으므로 식재 간격은 최소 한 뼘 이상이 좋습니다.
파종 방법
1. 최후 성장 지역에 직접 파종하는 방식과 묘판을 만들어 2~3년 후 이식을 하는 2가지 방식 중 선택하여 파종 면적을 사전 예측합니다.
2. 파종할 지역의 잡목을 제거합니다. - 키높이 이하의 잡목 제거
3. 위에서 아래로 내려오면서 파종하되 파종 방식은 줄뿌림이나 점뿌림을 합니다.
4. 평당 파종 수량은 직파의 경우 생존율 감안하여 평당 100주 이내로 하되 평균적 으로 평당 50~60주를 기준으로 합니다.
5. 묘판 조성시의 파종 면적은 토질과 주변 환경에 따라 600g(1되,약10,000종) 을 파종할 경우 5~10평 정도를 기준으로 합니다. 조성된 묘판에서 2~3년을 길 러낸 후 최종재배지역으로 이식을 합니다.
6. 파종 지역의 낙엽을 아래로 긁어내린후 흙도 1~2cm 정도 별도로 긁어내립니다.
7. 직파 또는 묘판 조성의 방식에 따라 일정량의 종자를 파종하고 별도로 모아둔 두었던 흙을 약 1~2cm의 두께로 덮습니다.
8. 토양의 습도 유지를 위하여 덮은 흙을 살짝 두드려 줍니다.
9. 긁어내린 낙엽을 흙 위에 다시 덮어 줍니다.
------------ [Original Message] -------------------------- >>
안녕하세요?
장뇌삼 씨앗이 도착되었는데
설명서가 없네요
포장은 꼼꼼하게 잘해 주셨는데...
심는 방법 설명 좀 부탁드립니다.
수고하세요.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